본문 바로가기
개발/그 외

다국가 지원 앱 개발 시 유의 사항

by 데브시나 2022. 5. 11.

앱 개발을 할 시 국내 시장에만 배포를 할 경우 한국어만 사용해 배포를 해도 된다. 하지만 어플을 개발 후 다른 나라에도 서비스를 하기 위해선 화면에 표출되는 언어가 배포되는 나라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다국어 기능을 추가 개발해야 한다.

 

다국가 지원을 하는 경우 i18n 명칭이 사용된다.

 

 

i18n이란

i18n은 Internationalization의 축약형이다. 국제화, Internationalization는 알파벳이 20개인데, 가장 첫 글자인 i와 가장 마지막 글자인 n 사이에 알파벳이 18개가 있다고 해서 i18n이라 칭한다. 즉, 국제화와 internationalization, i18n은 모두 같은 말이다.

 

 

국제화에 필요한 사항

  1. 언어, 지역별 번역
  2. OS/플랫폼 인코딩
  3. 문자열 치환 방법
  4. 국제화 UI(문자열 크기 변화, 폰트, 아이콘 등)
  5. 쓰기 방향의 차이(LTR, RTL)
  6. 숫자, 공백, 화폐, 날짜, 주소, 측정 단위 등 표기
  7. 타임존, 썸머타임 등 시각
  8. 문자열 정렬 방법
  9. 그 나라의 문화

 

 

앱 국제화에 타임존이 고려해야 하는 이유

  • 데이터 등록 일자가 나라마다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.
  • 한 국가에서만 사용한다면 상관이 없을 이야기일지도 모른다. 하지만 앱을 오랜 기간 이용한 고객이라면 최소 1년 이상인 경우가 많다.
  • 국가 간의 이동이 있는 경우도 존재하고,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. 그렇기 때문에 간단한 메모 앱을 예를 들면 한국 시간대는 UTC 기준으로 +9시간이다. 하지만 UTC 시간 기준으로 - 시간대에 여행을 국가 간 이동이 있을 경우도 있다. 이런 경우 등록 일자가 과거의 시간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있다.
  • 과거의 시간 표출되는 걸 방지하고자 메모를 등록할 때 타임존을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.

 

 

 

'개발 > 그 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QTT 기초  (0) 2022.05.16
[개발지식] 메모리 구조  (0) 2022.05.09
쿼리스트링(QueryString)에 특수 문자 넣기  (0) 2022.05.03
[컴퓨터 지식] 메모리(Memory) 에 대해서  (0) 2022.04.17

댓글